26회 다큐, 싶다

2017년 5월 30일 / 국도예술관






플레이온  Play on, 2017

감독 ㅣ변규리ㅣ 다큐멘터리 ㅣ 83분





시놉시스

라디오 DJ로 변신한 SK브로드밴드 통신설치·수리 하청노동자. 정규직 전환을 위한 파업 소식을 알리기 위해 <노동자가 달라졌어요!>라는 팟캐스트 방송을 시작한다. 하청노동자로 일하며 느끼는 서러움, 진상 고객들의 뒷담화, 꿈과 미래를 이야기 하는 이들에게 라디오 스튜디오는 또 하나의 삶의 무대다. 노동자들은 1차 하청업체의 정규직전환을 바라며 파업에 돌입한다. 6개월간의 파업 끝에 1차 하청업체 정규직이 된 이들. 그러나 월급이 반으로 줄어든다. 절반의 성공 앞에서 노동자들의 마음은 조금씩 복잡해진다. 그러던 어느 날 노동조합 활동을 함께 했던 봉근은 일을 그만두게 되는데…….

저마다 독특한 케이블가이들의 사연이 전파를 타고 흐른다.







연출의도

‘잘’ 성장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알고 싶었다.
구질구질 하고 솟아오를 구멍이 없을 것 같은 현실에서도
사람들이 도전하는 이유를 알고 싶었다.
모든 도전이 개인에게 ‘성공’이라는 단어로 결과를 남기지는 않는다.
하지만 무모한 도전의 결과로 함께 걸어갈 친구를 남긴다는 것은
구질구질 하고 솟아오를 구멍이 없을 것 같은 현실에서도
사람들이 다시 도전하는 이유였을 거라고 생각한다.
‘함께’ 성장한다는 것을 선택한 이들과 함께하게 되어 행복하다.

프로그램노트

인터넷 라디오로 송출된 이야기가 보는 라디오로 플레이된다. 인터넷을 설치하던 기사들은 인터넷을 통해 노동자로서 연대와 투쟁을 이야기한다. 인터넷 설치 기사들의 현장은 공장과 같이 서로 모여 일하는 장소가 아니라 골목과 전봇대, 주택과 옥상 같은 흩어진 일상 속 장소들이며 이들은 서로 떨어져 홀로 일을 한다. 라디오 PD인 감독은 듣는 라디오 <노동자가 달라졌어요>를 기획하고 보이는 라디오를 시작한다. 단 녹음부스 안의 보이는 형식의 라디오가 아니라 노동하고 일상을 사는 삶의 모습을 보는 라디오이다. 이 영화는 바로 보고 듣는 시점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보고 말하는 라디오는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닌다. 우선 감독의 위치를 구구절절 설명 없이도 그들 옆에 자리 잡아준다. 물론 감독은 카메라 뒤에 위치하여 언제나 한 지향점을 갖고 대상을 바라보지만, 보는 라디오에서 생성된 목소리들은 소리와 영상의 단일 지향성을 무너뜨리고 마치 스크린 가운데 감독이 있을 것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그렇게 스크린 앞에서 이끌어가는 사건은 동시적인, 즉 양방향의 독특한 관계성을 취득한다. 감독의 존재는 카메라 뒤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목소리는 노동자들과 같은 톤으로 서 있는 것이다. 보는 라디오의 장점은 이에 그치지 않는다. 이미 송출된 라디오 목소리를 영상으로 재배치하면서 흔히 인터뷰로 재구성되는 삶이 라디오 공동체 속에서 담백하고 내밀한 영화적 리듬을 가능케 해준다. 말하자면 보는 라디오는 이미 대상과 감독간의 관계의 자리를 안정시키고 나머지 여백들을 노동자들의 내적갈등에 할당할 여유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보는 라디오는 강철 노동자가 아니라 갈등하고 번민하며, 때로는 수문장 알바를 하고 복귀투쟁의 방법을 고민하는 소소한 인간적인 모습을 포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노동자들이 선택하는 현실의 투쟁은 삶의 속된 조건 속에서 복잡하게 구성됨을 영화는 재현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보는 라디오의 또 다른 장점은 투쟁이 끝난 뒤에도 대상과 더 친근해졌다거나 이별을 하며 소회를 밝히지 않고 라디오의 반복된 일정처럼 일상의 리듬을 관철하는 것이다. 투쟁에서 벗어난 동지도 이 라디오 부스안에서 재회할 수 있는 힘이 바로 반복되는 일상의 리듬일 것이다. 관객들은 또한 그 덕에 감독이 만든 느리고 반복되는 호흡을 관조적으로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영화는 이렇게 라디오의 리듬을 영화적 장치로 쟁취함으로서 현재를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다층적인, 반복되며 그리고 한결같은 리듬을 말-소리와 함께 이야기 하고 있다.

인디다큐페스티발2017 집행위원
박경태






2017 인디다큐페스티발 개.폐막작 








25회 다큐, 싶다

2017년 4월 25일 / 국도예술관 








세 발 까마귀  The Three-Legged Crow, 1997

감독 ㅣ오정훈ㅣ 다큐멘터리 ㅣ 72분






시놉시스

1991년 남한 사회주의 노동자 동맹 사건으로 구속되어 경주 교도소에서 무기징역으로 수감 중이던 박노해에 관한 작품. 그는 8.15 특사로 풀려났지만, 그동안 우리에게 그의 부재가 의미했던 것이 무엇이었는지, 그를 바라보는 우리 자신의 시선에 문제가 있지는 않았는지 등을 다각도로 묻고 있다.  






프로그램노트

영화는 어딘가를 찾아가는 자동차 안에서 시작한다. 영화 속에서 이 달리는 차의 이미지는 여러 번 반복된다. 그렇다. 이 영화는 일종의 ‘로드무비’다. ‘과거의 것과 새로운 것이 혼재하는 극심한 과도기’ 속에서 새로운 ‘대안’을 찾으려는 ‘질문’의 여정. 감독은 ‘시대적인 대안을 찾기 위해’, 한 시대의 ‘상징’이면서 감옥 안에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시인 박노해의 삶의 궤적을 처음부터 되밟아 나간다. 그리고 ‘관념에서 몸으로의 변화’ 속에서 다시금 시작할 어떤 희망을 찾는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애초에 떠나기로 마음먹은 사람은, ‘질문’을 시작하지도 않는 법이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것은,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한 질문의 여정인 이 영화 속에 좀 더 풍요로운 영화언어, 즉 다양한 ‘형식’과 ‘스타일’에 대한 모색과 실험에의 의지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가령, 당국의 사노맹 수사 발표 장면에서의 사운드, 윤도현 공연 속에 틈입하는 집회 장면, 편집기 앞에 앉아 독백하는 감독 자신의 자기반영적인 모습 등). 더욱 흥미로운 것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근본적으로 같은 질문을 품고 만들어진 홍형숙 감독의 <변방에서 중심으로>에서도, 예의 그 새로운 표현 형식에의 의지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시대는 새로운 감성을 필요로 하고, 새로운 감성은 새로운 형식을 요구한다. 90년대의 대표적인 다큐제작 집단인 ‘푸른영상’과 ‘서울영상집단’은, 이렇게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방식으로, 새로운 독립다큐의 시대를 예비하고 준비하고 있었다. ‘과도기’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된 <세 발 까마귀>는 그 자신이 한국독립다큐의 ‘과도기’ 속에 자리 잡은 빛나는 이정표 중의 하나다. 

변성찬/ 인디다큐페스티발2011 집행위원


Festival &Awards
제3회 부산국제 영화제 (1998)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1999)












24회 다큐, 싶다

2017년 3월 29일 / 국도예술관 






지나가는 사람들  People Passing by, 2015

감독 ㅣ김경만ㅣ 다큐멘터리 ㅣ 86분






줄거리


시대에 휩쓸릴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모습과 풍경에서 인간의 마음을 발견한다. 
 0. 해고자에서 쇼핑몰에 이르기까지 이 시대의 공기. 
 I. 잃어버린 얼굴들 1945~1948 : 엄혹한 시절, 다가올 전쟁을 알지 못한 채 지금과 다른 얼굴을 지녔던 사람들과 거리. 
 II. 피난민과 포로 1950~1953 : 전쟁 아래에 놓인 얼굴들. 
 III. 동원과 노동 1953~1966 : 전쟁으로 인해 가능해진 동원체제와 노동의 고단함, 그리고 인간의 마음. 
  
 [제 7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제40회 서울독립영화제]


연출의도


한국인으로 사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이 나라에서 인간의 경험과 마음은 지금껏 존중된 적이 없다. 특히 그 사람이 노동자라면 더욱 그러하다. 경제라는 이름의 오래된 이데올로기와 관행 아래 사람들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간다. 그리고 시간과 삶이 머물렀던 공간 역시 사라져 가고 있다. 본격적으로 산업화되기 전, 배고프고 못살던 시절로 치부되던 시기, 분명 엄혹한 시절이었지만 그 시대의 풍경과 사람들의 얼굴에서 오히려 지금보다 더 분명하게 인간의 마음을 발견하게 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한편으로 탈출한 것처럼 생각하는 그 헐벗은 시절의 풍경에 지금의 모습이 여전히 겹쳐지는 것은 이 나라가 늘 현재진행형의 과거 속에서 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분명 어딘가에서 한국인들은 중요한 것을 잃어버린 것만 같다. 사람들의 얼굴 표정과 시선을 마주 보노라면 삶의 궤적과 더불어 인간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된다.








출처 : 네이버 영화 




23회 다큐, 싶다
2017년 2월 28일 / 국도예술관






노후 대책 없다  No Money, No Future 2016

감독 ㅣ이동우ㅣ 다큐멘터리 ㅣ 100분



시놉시스

서울의 펑크 밴드들이 도쿄에서 역대 가장 크게 개최되는 하드코어 펑크 음악 페스티벌에 초대된다. 2015년 현재 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가장 시끄러운 펑크 밴드들이 어떤 생각으로 살아가고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는지, 알 사람은 이미 다 알지만 모를 사람들은 평생 모를 것들에 대해 아주 가까운 곳에서 무엇보다 유쾌하게 보여준다.

연출의도

스컴레이드와 파인더스팟은 한국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D.I.Y. 펑크 밴드이다.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미국과 스웨덴 등지에서 앨범을 차례로 발매하며, 한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스컴레이드는 일본 도쿄에서 역대 가장 큰 규모로 개최되는 하드코어 펑크 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된다. 파인더스팟 역시 함께 일본으로 떠나게 되면서 일어나는 우리들의 모든 이야기를 담고 싶었다. 펑크는 무엇이고 펑크로서의 삶은 어떤 것인가. 스컴레이드의 멤버인 내가 직접 카메라를 들기 시작했고 그들과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함께 호흡하며 답을 찾아가는 영화를 만들었다.


 



리뷰

서울의 펑크밴드들이 일본의 하드코어 펑크 페스티벌에 초대된다. 일본에서의 일정은 고됐지만 많은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낸다. 영화는 일본에 가기 전과 후의 밴드 맴버들의 일상과 공연 모습을 열정적으로 담아낸다. 그런데 공연을 하고, 공연 후에 술을 마시며 사회와 음악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무언가 쓸쓸함이 느껴진다. 아마도 말과 현실은 너무나도 다르며, 관객은 여전히 소수이며, 공연으로는 먹고 살 수 없어 계속 다른 일을 해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지친 밴드의 맴버는 술김에 밴드를 그만하자고 눈물을 흘리고, 분노를 엉뚱한데 풀어버린 친구는 군대에서 휴가를 나와 사과를 한다. 그런데 공연을 하고 매일 술도 마시며, 뭔가 우리와는 다른 것 같은 그들의 삶도 어떻게 보면 우리의 삶과 다르지 않다. 누구나 다른 무엇을 꿈꾸고, 자신의 이야기를 사회에 전달하고 싶어하며, 존재의미를 찾고 싶어 하지만 사회는 거대한 벽이라 그 앞에서 우리는 잠시 자신의 꿈은 접어두고 일상을 위해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도 음악으로 잘못된 세상을 바꾸어보려고 하지만 실제로 바뀌는 것은 없고 사회는 벌금으로 그들에게 답한다. 그래서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계속 꿈을 꾸며, 조금씩 자신의 영역을 넓혀나가는 그들의 열정을 조심스럽게 응원하게 된다. 아는 사람은 다 알고, 모르는 사람은 절대 모를 밴드이지만 그들의 진정한 존재의미는 페스티벌에 초대되고, 해외에서 앨범이 발매되고 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실제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 그 자체에 있기 때문이다. (2016년 제8회 DMZ국제다큐영화제/조정의민)



*서울독립영화제2016 대상수상작






21회 다큐, 싶다

2016년 12월 27일 / 국도예술관






우리 체제의 유령들  The Gjosts in Our Machine, 2013

감독 ㅣ리즈 마샬ㅣ 다큐멘터리 ㅣ 92분




줄거리

영화는 현대 사회의 작동 기계로부터 구출되었거나 여전히 그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동물들의 삶을 조명한다. 호평 받는 동물 전문 사진작가 조 앤 맥아더의 따뜻한 시선을 통해 우리는 그들의 모습에 점차 친숙해진다. 영화는 그녀가 캐나다, 미국, 유럽 등지에서 동물과 관련된 이슈를 포착했던 일 년의 기록을 따라간다. 
  
 [제5회 DMZ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시놉시스

<우리 체제의 유령들>은 현대 사회의 체계 안에서 살고 있거나 구조된 동물들의 삶을 따라가는 영화다. 사진작가 조앤 맥아서는 미국과 캐나다, 중국을 여행하며 다양한 동물들의 이야기를 카메라에 담아왔다. 그녀의 카메라에 담긴 동물들은 음식,패션, 오락, 연구 등의 글로벌 산업을 위해 광범위하게 사육되고 소비되는 모습이다. 동물은 그저 소유되고 사용되는 물건일 뿐일까? 이들에겐 권리라는 건 없을까?

Director 리즈 마샬

작가주의 감독이자 작가, 프로듀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환경과 사회문제를 영화를 통해 시각화시키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1990년대부터 전 세계를 돌며 동물, 물, 사막, HIV/AIDS 등의 사회적 이슈를 조명한 총 11편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복잡하게 얽힌 이슈들을 잘 표현해내기 위해 스토리텔링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우리 체제의 유령들>은 현대 도시 생활이라는 환경 속에서 수많은 동물들이 겪어가고 있는 비극적 상황에 대해서 폭로하는 영화이고, 동시에 그런 상황 속에서 인간과 비-인간 동물 사이의 관계에 놓여있는 근본적인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 질문하고 있는 영화이다. 영화는 1세계(북미대륙과 유럽) 곳곳을 돌아다니며 동물 사진을 찍고 있는 사진작가 조 앤 맥아더의 1년  동안의 여정을 뒤따라가며, 그런 폭로와 질문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현대 산업 사회 안에서 동물들은 인간의 어떤 필요(가령, 의학실험, 식량, 의복, 오락) 에 부응하는 한에서만 자신의 생존을 보장 받는, 하나의 '사물'이 되어버렸다. 아니, 어떤 의미에서 그것은 그냥 '사물' 보다 못한 비천한 존재가 되어있다. 감각과 영혼을 지닌 그 동물들에게 생존은 곧 끊임없는 고통의 과정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우리 체제의 유령들>은 두 가지 영화적인 방법을 통해서, 우리에게 '동물 해방'의 긴급성을 호소한다. 하나는 동물들의 얼굴에  대한 클로즈업을 통해서 그들이 지닌 다양한 표정을 포착하는 것이다. 이 때 동물들은 대개 현대 도시인들에게는 눈에 뜨이지 않는 비가시적 공간(가령, 의학실험실, 사육장, 도살장 등) 속에 놓여있는 존재들이다. 이 클로즈업은 이중적인 의미에서 폭로적(비가시적인 것의 가시화)이다. 최종 결과물을 마음껏 향유하지만 그 과정에 대해서는 보거나 알 수 없는 우리 도시인들을 그 비가시적 공가으로 데려간다는 의미에서(그것은 떄로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다), 그리고 그 공산 속에 있는 비-인간 동물들의 매우 인간적인 표정을 보이게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영화는 그것을 또 다른 환경(뉴욕 근교에 있는 동물 구호소, 또는 대안적인 동물농장)에 놓여있는 동물들의 표정과 대조시킨다. 이것이 바로 두 번째 방법이다. 그 동물들의 풍부한 표정과 자연스러운 몸짓들을 보고 있노라면, 도시의 일상 속에서 그나마 낯익은 것으로 보아왔던 동물원의 동물 모습들도, 왠지 낯설고 부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변성찬) 

 [제5회 DMZ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제 21회 <다큐, 싶다>는 DMZ DOCS의 아카이브 지원활동을 통해 상영됨을 알려드립니다! :-) 





20회 다큐, 싶다
2016년 11월 29일 / 국도예술관







불온한 당신  Troublers, 2015 

감독 ㅣ이영ㅣ 다큐멘터리 ㅣ 98분

 
시놉시스
 
다큐멘터리 감독인 나는 "당신은 세상에서 없어져야 한다."고 비난하는 이들을 만났다. 혐오의 시대에 성소수자들은 '종북 게이'가, 자식을 잃은 유가족들은 '불온한 세력'이 되어간다. 주변화된 삶을 찾아가는 여정에서 나는 70세 '바지씨' 이묵의 이중의 삶을, 3.11 쓰나미로 인해 달라져버린 일본의 레즈비언 커플 논과 텐의 불안한 삶과 만난다. 혐오의 타깃은 사회적 소수자에서 평범한 시민으로 확장되어 가고, 증오를 쏟아내던 사람들의 정체가 서서히 밝혀지는데…
 
 
[불온한 당신] 영상 -
SWIFF 2016 퀴어레인보우EPK 영상 - 출처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연출의도
 
나는 폭력적 애국주의의 광풍이 불러온 사회적 현실과 그로 인해 밀려나는 삶들을 한 작품 안에 구성해내려고 시도했다. 혐오가 일상이 되어버린 풍경 속에서 ‘불온하다’ 낙인찍힌 삶들은 어떤 생존을 고민해야 할까. 혐오의 프레임 안에서 성소수자들은 ‘종북 게이’가, 자식을 잃은 유가족들은 ‘불온한 세력’이 되어갔다. 존재에 대한 당연한 요구와 목소리는 사라져야 할 것들로, 나라를 망치는 불온한 목소리로 치부되어 재난의 현실을 구성한다.
영화에서 서로 무관해 보이는 인물과 사건들은 불온함으로 연결되어 확장된다. 하나의 사건은 또 다른 사건으로, 하나의 삶은 다른 누군가의 삶으로 이어진다. 이 다큐멘터리는 우리의 삶이 타인의 삶과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우리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할 수 있을지 그 연결고리를 잇고자 하는 시도이자, 삶에 대한 공감과 애도의 자리에서 이 시대의 불온함을 묻고자 한다.
 
 
* 2015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한국경쟁부문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작

 







19회 다큐, 싶다

2016년 10월 25일 / 국도예술관 






핵마피아 The Nuclear Mafia 2016

감독 ㅣ김환태 다큐멘터리 ㅣ 115분





[줄거리]



‘핵마피아’를 만나기 위한 시민 탐정들의 용감한 여정이 시작된다.


[예고편]

https://www.youtube.com/watch?v=ZsyQS1tiUfk&feature=youtu.b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