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會動 5번째 모임은, 세계 다큐멘터리 영화사 책을 보고 짧고 깊게 토론하고
단편영화 한편으로 깔끔하게 마무리 하자는 의견을 바탕으로
토론 후에 단편다큐멘터리 한편을 보고 토론했습니다.
이날 본 단편다큐멘터리는 김태일감독님의 '효순씨 윤경씨 노동자로 만나다' 입니다.
참석자 - 박배일(박), 허주영(허), 강성호(강), 문창현(문), 김현아(김), 안명환(안), 한동혁(한)


'효순씨 윤경씨 노동자로 만나다'

김태일 
| 한국 | 다큐멘터리 | 전체관람가 |
39분


 '효순씨, 윤경씨 노동자로 만나다' 는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서울로 올라와 영등포산업선교회를 통해 노동운동에 참여한 70년대 여성노동자 송효순씨와 이랜드일반노조 사무국장인 홍윤경씨, 이 두 사람의 만남으로 한국에서 살아가는 여성 노동자들의 삶과 한국노동현실의 역사를 잇고 있다.

 두명의 주인공이 노동운동의 현장에서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통해 우리 대한민국에서 노동운동이 어떤 역사를 이어왔는지, 여성노동자들이 노동현장에서 어떻게 살아 왔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 김태일 감독의 노력이 물씬 풍기는 영화 효순씨 윤경씨 노동자로 만나다.

 노동운동이란 생소한 분야의 이야기가 그렇게 애절하고, 슬프며, 그 동안 왜 관심을 두지 못했지 하는 등의 많은 감상을 이끌 때 쯤 우리는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했다.

먼저 운을 뗀이는 ...

허- 노동자 이야기를 전반적으로 다 다룬것 같다. 인터뷰 하는 장면을 보면 감독이 많은 이야기를 담기 위해 준비한 것 같아서 좋았다.  교차편집이라고 하나? 편집을 통해서 세대간의 노동운동의 현장을 잘 아울러 표현한 것 같다. 인터뷰이가 하는 말 한마디 한마디가 보석같았다. 좋은 이야기들을 늘어주신 인터뷰이를 만난 감독이 조금 부럽단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들의 그런 발언들 속에서 보이는 이면에는 더 어두운 것들이 숨어 있다는 것을 느꼈다.  다큐멘터리는 출연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거라 생각한다. 그 이야기들을 감독이 잘 버무려 더 좋은 작품이 된 것 같다.

문- 저는 영화를 보면서 음악이 너무 많이 사용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했다. 이야기에 몰두 할 때쯤 음악이 등장하고 그러면서 감정을 자극하니까 꼭 음악으로  관객의 감정을 자극해서 주제를 더 어필하려는 것 처럼 느껴져서 나중에는 정말 중요한 이야기고 알아야하는 내용임에도 불구 하고 많은 양의 음악이 사용 된 것에 의식하다 보니 조금 아쉽다는 느낌이 컸다.

박- 맞다. 저도 사실 그런 느낌을 받았다. 영화 전체적으로 인터뷰- 음악 - 인터뷰 - 음악이라를 일률적인 구조를 하고 있다. 특히나 마지막 장면은 너무 인위적인 느낌이 들어서 많이 아쉬운 부분이다. 음악사용으로 인위적인 느낌을 받았다 결국에는 아.. 이 이야기 판이 짜여진 거구나 라는 생각에 이르게 되니까 아쉬운 부분이 있는 영화라 생각했다.

안- 저는 그런생각보다는 이야기 구성이 아주 잘되있다는 느낌이 젤 크게 들어서 음악사용에 대해서는 인지조차 하지 못했다. 구성이 잘되서 이야기, 주제에 점점 빠져들다보니 음악이 얼마나 나왔는지 잘 모르겠다.  잘 짜여진 구성이 영화에 집중도를 높여준 것 같다.

박- 여기서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영화를 구성할 때 인터뷰가 가지는 힘, 내레이션이 얼마나 구차한 건지,  그리고 김태일 감독의 구성방식, 영화를 표현하는 방식에서 아주 옛날식을 취하고 있고, 세련되지 않은 모습에 약간 실망감을 갖을 수 있다. 

문- '농민약국'을 감독님 GV와 같이 봤었다 사실 그때는 그냥 다큐멘터리 구성 , 이런거 잘 모르고 그 다큐멘터리가 무엇을 말하는지에 관심이 있었던, 장르로서 다큐멘터리가 좋았을 때다 2년전... GV를 하는데 관객들이 김태일 감독에게 너무 혹평을 했었다 아무것도 모르고 , 그냥 그 자리에서는 김태일 감독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했는데 집에가서 김태일 감독 이력을 보고 깜짝 놀랐다. 그래서 그 후로 계속 주목했던 감독님이었는데 작품을 찾아 보지 못했다 그리고 본 작품이 이작품이다. 뭔가 부족함을 주제나, 구성으로 승부하는게 아니라 음악이라는 존재에 의지를 한 거 같아서 영화를 보면서 감독님한테 조금 실망감이 들었다. 

박- 음.. 오월애가 나오기전에 이 작품이 나왔다. 나는 오월애를 보고 김태일 감독님이 너무 대단하게 느껴졌다. 자신이 펼쳐놓은 약속을 소신껏 지키고, 지키려고 하시는 것 같아서 본 받아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다큐멘터리는 진정성이다. 형식따위가 뭐가 중요한가? 농민약국 이후에 앞으로 역사적인 관점에서 민주화나, 노동이야기를 펼쳐나갈 것이고, 그게 당신이 할 수 있는 , 해야하는 일이라고 하시면서 작품을 해나가겠다고 하신 약속을잘 이어오고 계신거 같다. 오월애를 꼭 보기 바란다.

김- 저는 인터뷰내용중에 윤경씨의 남편 인터뷰가 나오는데 그 인터뷰를 왜 넣은 건지 이해가 잘 안간다. 남편의터뷰를 내용적인 측면보다 영화의 흥미장치로 활용한 느낌을 받았다.  왜 넣은 건지 이해가 가시는 분 조금 이야기 해 주면 좋겠다. 

한- 박정희대통령 이야기를 넣은 부분은 매우 흥미로웠고 좋았다. 할머니 세대들을 박정희대통령을 너무 좋아한다. 빠른 성장의 이면에 힘든 노동자들의 삶이 있는데 박정희대통령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그런 부분들을 그냥 무시해 버리는 것 같아서 그 점을 다시 잘 찝어 준것 같아서 좋았다. 힘든 노동자들이 있다는 것을 꼭 알았으면 좋겠다.

허- 제 어머니도 저렇게 공장에서 노동하셨던 노동자였다. 얼마전에 소금꽃나무를 읽는데 엄마이야기가 너무 떠올랐고, 그리웠다. 그 책을 읽으면서도 이 영화를 보면서도 엄마랑 같이 그 책을 읽고, 또 영화를 본다면 많은 이야기들을 할 수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다. 그 당시에 어떤 사회적인 상황이었고, 어머니는 어떤 심정으로 노동을 해오셨는지 이야기를 나누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개- 정말 밑바닥의 , 민초들의 이야기, 개인의 역사가 얼마나 중요한 건지 깨달아야 한다. 그들 때문에 우리역사를 기록해야 한다.

아무개- 학생들의 운동, 지식인들의 운동 모습만 봐왔는데 진짜 공장의 노동자들,  몸으로 부딪혔던 사람들이 있다는 것 그리고 이들을 기록해 놓은 이런 영상을 통해 또 한 번 새삼 놀라게 됐다.

아무개- 주영이의 말을 듣고 보니 정말, 산 역사는 우리 주변에 있는 것 같다. 우리 어머니 아버지들도 당시에 비슷한 처지의 노동자들이었을 거다. 나도 내 어머니 아버지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아무개- 나도 그렇다. 

아무개- 그런 의미에서 자식이 부모님의 이야기를 진짜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묶어서 만들어도 작품이 될 것 같다는생각을 했다. 민초들이 말하는 자본의 이면을 들추는 , 노동의 가치를 밝혀낼 수 있는 그런 이야기들을...


 이번 토론에서는 다큐멘터리의 구성, 내레이션과 음악의 역할, 노동의 가치를 알아 볼 수 있었던 토론이었습니다.  노동의 가치가 너무나도 묵살되고 있는 현 시대속에서 산 역사인 민초들의 이야기가 다루어지는 작품들이 더 중요하게 느껴지는 순간들이었습니다. 

더 많은 이야기들이 오고 갔는데, 오늘도 서기의 역량 부족으로 이정도만 정리를 합니다. 
다음 회동때는 더 꽉찬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__)





'18會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會動, 5월 5일 6번째 모임.  (1) 2011.05.12
18會動, 4월 9일 5번째 모임.  (0) 2011.05.02
18會動, 3월 19일 4번째 모임.  (4) 2011.04.13
18會動, 3월 6일 3번째 모임.  (0) 2011.04.13
18會動, 명성, 그 6일간의 기록.  (0) 2011.0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