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2020)

한국 / 2020 / 다큐멘터리 / 129분

 

 

기획의도 Directors comments

 

30년 동안 살고 있는 사상을 9년 동안 지켜봤다. 집들의 무덤 위에서 매일매일 장례식을 치르는 것 같은 사상에는 일터를 잃은 성희와 공동체를 지키지 못한 수영이 살고 있었다. 한때 산업역군이라 불렸던 두 가부장은 우울을 안고 마치 유령처럼 사상을 배회했다. 그들의 삶을 바라보며 끊임없이 모래성을 쌓고 무너뜨리는 자본의 악랄함을 확인한 나는, 무엇을 어떻게 기록해야 할까? <사상>은 긴 시간 꼬리처럼 따라붙던 질문에 답을 찾는 여정이다.


Sasang is my hometown of 30 years, and a place that I have been observing for nine years. Sung-hee and Su-young are residents of Sasang, where funerals are held on a daily basis on the graveyards where homes are buried. One has lost his job, and the other failed to keep his community together. The two patriarchs, who were once called the “pillars of industry,” now roam the town of Sasng like ghosts, defeated and depressed. Watching their lives unfold, I have witnessed the vicious nature of the Capital that constantly builds castles of sand only to tear them down. Then, I would ask myself, what should I record, and how? Sasang – The Town on Sand represents my journey looking for answers to this question that has been following me around for all these years.

 

시놉시스 Synopsis

 

끊임없이 착취가 벌어진 성희와 수영의 '삶'과 '몸'.
자본이 숨기려고 했던 노동과 지우려고 했던 존재들.
그들을 품고 있는 ‘사상’. 
자본이 할퀴고 간 흔적이 고스란히 배인 사상에서 살아가는 존재들이 풍경처럼 펼쳐진다.

The lives and bodies of Sung-hee and Su-young have been sites of ceaseless exploitation.
The Capital tried to render their works invisible, and erase their very existence.
And Sasang embraces the two people and their lives...
This documentary unfolds the lives of those who live in Sasang, the “Town on Sand,” which preserves the scars left by the claws of the Capital.

 

크레딧 Credit

 

기획 제작 오지필름

프로듀서 김일권

출연 박성희, 최수영

감독 박배일

촬영 박배일 문창현 김민우

편집 박배일

음악 Awan

음향 김동완

 

스틸컷 Still Cut

 

'메이드 인 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st Scene>(2018)  (0) 2018.10.07
기프실(2018)  (2) 2017.09.11
소성리(2017)  (1) 2017.09.08
깨어난 침묵 (2016)  (0) 2016.02.17
밀양 아리랑(2014)  (0) 2014.09.03



다큐멘터리 / HD / 스테레오 / 90분



기획의도

<라스트 씬>은 득달같이 내달리는 삶속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을 찾아가는 영화다. 국도예술관을 중심으로 기록된 지역 극장의 모습과 영화를 애정하는 관객이 만드는 공기는 잠들어 있던 감각을 깨우며 영화와 극장의 의미에 대해 묻는다. 동시에 세상이 요구하는 속도에서 벗어나 우리가 서 있는 자리의 가치를 톺아본다. 이는 새로운 시작을 맞이하는 작은 쉼표다.


<Last Scene> is a film about searching for what we have lost in the merciless rush of life. The past and the present of the Kukdo Theatre and other local theaters, and the atmosphere emanated by the film-loving audiences, rekindles our dulled senses and presents us with quest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films and theaters. The film allows us to remove ourselves from the contemporaneous need for speed, and contemplate on the value of the place that we stand on. It is a brief rest before a new beginning. 




시놉시스

좁은 골목 끝에 작은 극장이 오랫동안 자리하고 있다. 10년 동안 극장을 운영하고 있는 무극성과 육형님의 하루는 어제와 오늘이 다르지 않다. 관객을 맞이하고, 극장의 빛을 기록하고, 영화를 상영한다. 무극성이 손수 제작한 티켓을 자르고 또 잘라도 극장으로 내려오는 발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책상 가득 널부러진 티켓을 보며 무극성이 빈 극장을 한숨으로 채운다. 영화는 그 곳과 사정이 다르지 않은 극장으로 짧은 여행을 떠난다.


Walk down a narrow corridor in Seoul, and you come across a small theater that has held its place for many years. “Mugeukseong” and “Yukhangnyeon” have been running the theater for 10 years. Their daily routines haven’t changed all these years: they welcome audiences, record the lights of the theater, and show films. Mugeukseong spends hours cutting tickets that she designed herself, listening, in vain, for the footsteps of audiences coming down the theater. The film takes audiences on a short journey to Kukdo and other small theaters  faced with similar fates.






크레딧

기획 제작 오지필름 국도예술관

출연  정진아 김형운 성호준 이현아     

감독 박배일

촬영 박배일 문창현

편집 박배일

음악 Awan

음향 김동환

DI 김동휘


'메이드 인 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상>(2020)  (0) 2020.10.20
기프실(2018)  (2) 2017.09.11
소성리(2017)  (1) 2017.09.08
깨어난 침묵 (2016)  (0) 2016.02.17
밀양 아리랑(2014)  (0) 2014.09.03

기프실

다큐멘터리 / HD / 스테레오 / 94분

 

기획의도


국책사업으로 사라져가는 것, 가 폭력으로 고통 받고 있는 이들을 어떻게 기록하고 기억 할 것인가? 다큐멘터리를 시작한 이후 나의 카메라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허덕이고 있다.

할머니가 살던 기프실은 강물이 굽이굽이 돌다 여울을 만들어 가장 깊게 잠기는 곳을 의미한다. 우리의 기억은 의식하고 노력하지 않으면 굽이굽이 돌아 검게 잊히게 마련이다. 국가 폭력이 반복 되고 잔인한 역사가 되풀이 되는 것은 기억하지 않기 때문이다. 잔인한 역사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기록하고 기억하며 저항하는 것이 다큐멘터리의 역할이다.

<기프실>은 영주 댐으로 사라질 마을을 기록하여 국가의 잘못된 정책에 저항하고, 제대로 기억하기 위한 나의 첫번째 여정이다.



 

시놉시스


할머니 댁이 있는 기프실 마을이 4대강 사업의 일환인 영주댐 건설로 변해가고 있다. 10가구 남짓 남은 기프실은 마치 멈춰버린 시간 속에 있는 듯하다. 마을 주민들은 기한 없이 미뤄지는 이주를 앞두고도 뜯겨난 땅에 또다시 삶을 일구고, 떠나가는 이웃을 배웅하며 함께 생활한다. 나는 그분들과 섞여 하루가 다르게 비어 가는 기프실의 모습과 황폐해져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담는다. 그리고 검은 물속으로 잠기는 마을과 마음을 보며 내 안에 숨겨둔 기억을 꺼낸다.

 

 

크레딧


기획 제작 오지필름

출연  김노미 하귀분 문제규 박종숙 이영옥 석오길 권순자     

감독 문창현

프로듀서 박배일

촬영 문창현 김주미 박배일 이승훈 주강민 한동혁

구성 김주미 문창현 박배일

편집 문창현 박배일

음악 나비맛 노갈

 

 

 


'메이드 인 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상>(2020)  (0) 2020.10.20
<Last Scene>(2018)  (0) 2018.10.07
소성리(2017)  (1) 2017.09.08
깨어난 침묵 (2016)  (0) 2016.02.17
밀양 아리랑(2014)  (0) 2014.09.03

소 성 리

Soseongri


다큐멘터리 / HD / 스테레오 / 89분



기획의도

 

소소하게 농사를 지으며 호사스럽지는 않지만 평온한 일상이 이어지던 소성리에 사드가 배치되면서 마을이 전쟁터가 되었다. 긴장 속에 하루하루를 보내는 주민들은 마음 깊이 싸매고 있던 감각의 봉인이 해제됐다. 전쟁을 경험하고 이후 지독한 가난을 겪으며 빨갱이 프레임 속에서 평생을 숨죽인 살았던 소성리 주민들, 그들에게전쟁안보공포 다른 이름이다. ‘사드 소성리 주민들에게는 나라를 방어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 봉인 있던 전쟁 시절로 돌아가게 만드는 문이었다. 문은 전쟁 이후 가난과 불안을 감각하게 하는 무서운 통증의 시작이다. 한동안 꾸지 않았던 죽음에 대한 악몽을 다시 꾸게 만드는 고통이다.

 


영화는 평화로운 일상 속에 새겨진 개인의 삶과 전쟁의 상흔을 따라간다. 자신들의 이야기를 침묵하며 평생을 살아왔던 이들의 마음 풍경을 들여다보고, 평화를 바라는 그들의 의지를 담담히 담는다.


In Soseongri, people do not live the lives of luxuries, they farm for a living and experience their own form of normalcy. However, when THAAD was deployed in Soseongri, the village beccame a battlefield. As the residents of Soseong-ri tip-toe around their nerves, deeply sealed feelings surfaced and released. The people in Soseongri have \lived under the yoke of guilt framed by their experience with 'the Reds' after experiencing the Korean War and poverty. "War" and "security" are just different names for "fear" to them. "THAAD" is not something that will defend the country for them. It is the gate through which the days of war, sealed in their memories, returns.The gate opens to the horrifying reminder of poverty and anxiety. It is the pain that brings nightmares of death they thought they had left behind.


The movie, Soseongri, follows the normal peaceful lives of the townsfolk and the scars of war they bear. This movies takes a closer look into the minds of those who kept quiet and shows their will toward peace. 



시놉시스

 

쏟아질 같던 별이 해가 뜨며 사라지고, 굽은 의선이 유모차에 의지해 마당을 느린 걸음으로 돈다. 순분은 깨를 심고, 밭에 풀을 뽑고, 감자를 캐며 하루 종일 땀을 흘린다. 금연과 상희는 작은 수풀이 만들어낸 그늘에 앉아 중참을 먹으며 까르르 이야기를 나눈다. 회관에서는 여럿이 둘러앉아 밥을 먹고, 화투를 치고, 새근새근 낮잠을 청한다. 어제와 다르지 않은 소성리의 하루가 그렇게 흘러간다.

살배기 아들을 마음에 묻은 금연, 잃어버렸던 이름을 찾기 위해 가부장제와 싸웠던 순분, 지독히 가난했음에도 나눔을 즐겼던 의선의 희로애락이 산과 숲으로 삼연한 소성리에 고스란히 배어있다. 6.25 전쟁 당시 인민군이 빵을 팔았던 마을회관과 한국군이 주민들을 학살했던 마을 입구, 시체를 파묻었던 계곡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상흔이다. 마을 사람들은 질곡의 역사와 고단한 삶을 부둥켜안고 서로의 일상을 지탱하며 살았다.

2017 4 26, 소성리는 경찰의 군홧발과 미군의 비웃음으로 사드가 배치되며 평화로웠던 일상이 무너졌다. 전쟁을 막겠다고 들어온 사드는 소성리를 전쟁터로 만들어버렸다. 소성리 주민들은 자신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 오늘도 아스팔트 도로 위에 눕는다.

Vibrant stars disappears into the night as the sun rises and Ui-seon with her hunched back depends on her stroller to walk around the yard slowly. Sun-bun plants sesame, pulls out grass in her field, and digs out potatoes all day, sweating. Geum-yeon and Sang-hui have a conversation while eating snacks, sitting under the shade of stubby bushes. Several people eat in a circle, play card games, and take a nap in the village hall. This day in Soseongri goes on just like yesterday did.

Soseongri is made up of the all spectrum of emotions both good and bad from the people who lives here - Geum-yeon who lost her 3 year old baby boy; Sun-bun who has fought against the patriarchy to reclaim her lost name and identity; Ui-seon who find joy in sharing even if herself lives in extreme poverty. The village hall where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used to sell bread, the entrance of the village where the Korean armed forces massacred people, and the valley where the dead are buried are all bearing scars of Korea’s modern history. The people in Soseongri have embraced the history of fetters and hard-knocked lives, and support each other. On April 26, 2017, THAAD was deployed in Soseongri, accompanied by the military boots of the Korean police and the sneers of American soldiers, destroying the peaceful daily lives of those who live here. THAAD, meant to stop wars, turns Soseongri into a battlefield. The people in Soseongri lie down on the asphalt road again to protect their lives.

 

크레딧

기획 제작 오지필름, 미디어로 행동하라!

출연 김의선 도금연 임순분

감독 박배일

프로듀서 주현숙

조연출 권영창       

촬영 박배일 권영창 최승철

편집 박배일                                                                               

동시녹음 유민아           

음악 Awan                                                            

DI Colorist 임학수

사은드 디자인 & 믹싱 정성환 김병오

배급 시네마달

'메이드 인 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st Scene>(2018)  (0) 2018.10.07
기프실(2018)  (2) 2017.09.11
깨어난 침묵 (2016)  (0) 2016.02.17
밀양 아리랑(2014)  (0) 2014.09.03
밀양전(2013)  (0) 2013.11.14

깨어난 침묵

After Breaking the Silence

 

다큐멘터리 / HD / 스테레오 / 81분

 

시놉시스

카메라를 빤히 보고 있던 노동자들이 그동안 말하지 못했던 마음 속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날은 아직 밝지 않았고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새벽 출근길, 노동조합이 만들어진 과정을 들으며 더 이상 자유롭게 드나들지 못하는 공장을 조심스럽게 바라본다.

 

2014429일 생탁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이 법에 정해진 노동 3권 보장과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환경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지역 유지로 구성된 사장들의 압력 때문에 주요 언론은 그들의 투쟁을 외면했다. 노동자들은 자신의 투쟁을 기록하기 위해 카메라를 들고 거리에서 쉼 없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외치지만, 법과 자본, 사람들의 무관심과 가족의 외면은 그들의 외침을 집어삼켜버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은 다시 거리로 나선다.

 

Most adorable traditional "Makgulli(Rice wine) of Busan, "SaengTak" the company earn a two milion won per year as clear profit because of steal a worker's venefit. but, that's verified a truth are liar by there's former labours : Made by fresh under- water spoiled under the 150m. There have been worked without regularly vacation and no additional pay pressured a work in Sunday as even holiday, just provided one sweet potato a day.


4.april.2014. Worker's who worked in "SaengTak" are get to the struggle to require adjust of working environment for safely food, and guarantied a Three Right of labors. however, Media were avoid there's struggle, because of pressure of the heads of compony who composed by local worrhies.

Then. Worker's tried to record there's own struggle and launch forth to street, However, Law, Capital, unconcern of crowd and avoid of famille are swallow up them.

 

 

 

기획의도

우리 사회에서 노동자들이 침묵에서 깨어나 자신의 권리를 요구하는 행위는 감시해야 할 사람, 떼쟁이, 개만도 못한 인간으로 전락하는 과정이다. 자신의 목소리를 가지려고 안간힘을 쓰면 쓸수록 돈에 취한 세상은 그들을 철저하게 외면하고 고립시키면서 노동자의 외침을 소리 없는 아우성으로 만들어버린다. 노동자들이 침묵에서 깨어나는 순간 또 다른 침묵 속으로 속박 되어버리는 대한민국!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탁 노동자들을 비롯해 스스로 노동자라고 인식한 이들은 침묵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제도 오늘도 굴뚝에, 철탑에, 크레인에, 전광판에 오른다.

 

생탁 노동자들은 2년 가까이 자신들의 투쟁을 기록하고 있다. 노동자들이 찍은 영상에는 외부자가 담을 수 없는 이야기들로 가득했고, 진실을 찾기 위한 그들의 뚝심이 오롯이 담겨있다. <깨어난 침묵>은 그들 스스로 담아낸 투쟁의 역사를 빌어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노력과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한 안간힘, 그리고 침묵에서 깨어난 노동자들을 다시 침묵 속으로 고립 시키는 현실을 이야기 한다.


In our society, Some worker’s acting which awaked from silence is transformation progress onto insistent, surveillance object or people beneath dog. Even, when hardly try to obtain there's own voice. Unfortunately, the society drunken by money was exhaustibly avoid and isolated them. and so that 'voice of labor' has provoked they roar without sound. Republic of Korea! a country which bondaged by other silence even labour's were awaked from deep silence. Nevertheless, for deviated from silence haler, self-recognized labours are claim a electronic signage, crane, pylon and even stack, in everyday.


"Former Labours of Sang-Tak"have been recorded there's struggles within 2 years. Labour's footage are bulging with insiders view: complete perseverance are filled in that footage. <After breaking the silence> is borrowed History of struggle, then want tell to us about Unnammed effort for safely food and Urge to regain a Right. Finally, some "Real" : Re-buried awaked worker from silences.

 

 

크레딧

출연 김종환 송복남 이옥형 이종호 이해영

기획 제작 오지필름

조감독 김주미 문창현  

촬영 김종환 송복남 문창현 박배일 이승훈

음악 서영주

타이틀 디자인 천녕슬

사운드 이주석

감독 구성 편집 박배일

 

 

 

 

 

 

 

 

 

 

 

 

 

 

 


'메이드 인 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프실(2018)  (2) 2017.09.11
소성리(2017)  (1) 2017.09.08
밀양 아리랑(2014)  (0) 2014.09.03
밀양전(2013)  (0) 2013.11.14
나와 나의 거리(2013)  (0) 2013.11.12





다큐멘터리 / HD / Stereo /102분


기획의도

따뜻한 볕의 마을 밀양은 산과 , 넓은 평야가 어우러져 생명의 기운이 가득  곳이다.

밀양 할매, 할배들은 대를 이어 평생 땅을 일구며 살아왔다.

2000 한국전력공사는 신고리 3,4호기 원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서울 수도권까지 송전하기 위해 밀양에 62기의 765kV송전탑 공사 계획을 확정했다.한국전력공사는 '전원개발촉진법' 적용해 주민의 토지를 강제 수용했고, 민주적인절차를 거치지 않은  공사 - 중단 - 일방적인 대화를 반복했다.

<밀양 아리랑> 매일 새벽 산을 오르며 맨몸으로 765kV 송전탑을 막기 위해 싸워온 밀양 주민들에 대한 기록이다주민들이 부르는 구슬픈 아리랑 속엔 핵과 송전탑, 민주적이지 못한 에너지 구조, 소비문화의 신화, 공동체가 파괴  폭력적인 국가에 살고 있는 우리의 욕망과 그들의한이 녹아있다밀양 주민들은 묻는다. " 수도권에서  전기를 보내기 위해 우리의 목숨을 담보잡혀야 하는가?",  물음에서 시작  질문은 " 핵발전이어야 하는가?" 확장된다. <밀양 아리랑> 밀양 투쟁의 의미와 주민들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나선다.



시놉시스

우리  옆에 765 뭔가 송전탑을 세운다네예

지난 3 동안 농사꾼이 농사도 내팽겨치고 이리저리 바쁘게 다녔어예.

그거 들어오면 평생 일궈온  잃고나도 모르게 병이 온다캅디더.

동네 어르신들이랑 합심해가 정말 열심히 싸웠는어예.

근데 작년 10월에 3천명이 넘는 경찰들이 처들어 와가 우리 마을을 전쟁터로 만들어놨어요.

산길농로길  막고 즈그 세상인냥 헤집고 다니는데 속에 울화병이 와가 살수가 없습니더.

경찰들 때문에 공사현장에도  올라가보고발악을 해봐도 저놈의 철탑 막을 길이없네예.

핵발전소 때문에 들어선다는데...아이고 할말이  많은데 한번 들어보실랍니꺼.



출연 김영자 김은숙 덕촌할매 말해할매 성은희 이종숙

기획 제작 오지필름

연출 구성 편집 박배일

조연출 김주미 문창현

촬영 박배일 이경희 문창현 안명환



Production Note

Miryang, drenched in warm sunlight, is a village, with the mountains, rivers and open fields in harmony, thathas been filled with the energy of life since the ancient times. The elderly citizens of Miryang have been living here, tending the land for life,following many generations of ancestors.

In 2000, the Korea Electric Power Company firmly decided that they would contruct a total of 62 765kV power transmission towers in Miryangin order to transmit the electricity produced in the New Gori 3rd, 4th nuclear power plants to the capital city of Seoul and its vicinity areas. Applying the Electric Source Development Promotion Act, the Power company grabbed the villagers’ farmlands by force, And with no democratic procedures, they repeated the cycle of constructions, halts and one-sided talks.

<Miryang Arirang> is a documentation of the Miryang residents, who have been climbing the mountains at dawn each morning to prevent the construction of the 765kV transmission towers with their meager bodies and flesh.

In the melancholic songs of Arirang that the residents often sing, there are our greed and their pains sadly intertwined, all equally from the fact that we are  currently living in a violent state where the sense of community is destroyed with the culture of consumption, non-demotratic energy policy and structure, the power transmission towers and finally, the nuke.

The Miryang resident are asking, "In order to transmit the electricity to be consumed in the capital city areas, why do WE have to put our lives on collateral?" and this question consequently leads us to a more fundamental question like "Why does it have to be a nuclear power plant?"

<Miryang Arirang> sets out in search of the answers to the residents`questions,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their exhausting battles.



Synopsis

RIght next to my vegetable fields, they are going to erect something called 765kV power transmission tower, I hear. For the past three years, I have been terribly busy with this issue, having abandoned much of the farming as a farmer! If that thing settles in here, I will lose my land that I have tended and earned through hard work in my entire life, and not only that, it could cause some dreadful sickness to creep into my body, I hear. Together with other senior citizens in my village, I have been fighting with all my might.

Then, in October last year, more than 3,000 police came into my village and turned my beautiful village into a battle field! They have blocked every single road, mountian paths and even the paths to our farmlands, and ruled our village as if it belong to them, which made me sick with rage and frustration. Because of the police all over, I can`t even get up on the construction site to check and it seems impossible to prevent that ugly steel tower, no matter how we protest with outcries and kicks. 

It is all for the new nuclear power plants, I hear. Oh My, I have so much to say… Would you care to listen to our stories?


'메이드 인 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성리(2017)  (1) 2017.09.08
깨어난 침묵 (2016)  (0) 2016.02.17
밀양전(2013)  (0) 2013.11.14
나와 나의 거리(2013)  (0) 2013.11.12
멈출 수 없는  (0) 2012.07.03

 할매들이 들려주는 밀양 이야 밀양전 Legend of Miryang1

 

 

 

다큐멘터리 / 73분 / HD / 16:9  / Stereo

 

 

 

 

기획의도

앞으로 건설 될 신고리 3,4,5,6,7,8호기에서 생산 될 전기를

수도권으로 송전하기 위해 계획된 765kV 송전탑.

64기가 건설 될 밀양에선 할매들이 송전탑을 막기 위해

국가와 한전 그리고 보이지 않는 그 누군가와 9년째 싸우고 있다.

할매들이 9년 동안 싸워온 이야기를 우리에게 들려준다.

 

 

 

 

시놉시스

내가 사는 곳은 햇빛이 가득 넘치는 마을 밀양입니더.

지는 10년전에 농사짓는게 너무 힘들어가 좀 쉴라고

공기 좋고 물 맑은 밀양에 터 잡았어예.

내 이웃도 몸이 않좋아서 몸 나술라고 들어오고...

근데 요즘 내 생활이 많이 서글퍼예.

우리 마을에 765인가 뭐신가 송전탑이 들어선다고 난리데.

작년엔 옆마을 어른이 자기 목숨 끊어버렸심니더.

내도 나무 잘라삐는 거 막다가 손자 같은 인부한테 개처럼 질질 끌려댕기면서

평생 못 듣던 욕도 묵고

그때 두들겨 맞은 상처가 아직도 그대로라예.

밀양에 송전탑이 총64개가 들어선다카는데...

그거때메 8년 싸웠어예, 8!

이야기 하자면 긴데 한번 들어보실랍니꺼?!

 

 

 

예고편



 

 

 

 

 

 

 


 

'메이드 인 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어난 침묵 (2016)  (0) 2016.02.17
밀양 아리랑(2014)  (0) 2014.09.03
나와 나의 거리(2013)  (0) 2013.11.12
멈출 수 없는  (0) 2012.07.03
그 자퇴하는 학생은 어디로 가면 됩니까!  (5) 2012.04.10

문대표의 고군분투 다큐제작기 나와 나의 거리


 

다큐멘터리 / 33분 11초 / HDV / 16:9  / Stereo


 

 


연출의도


다큐멘터리 창작활동을 시작한 나는


 

늘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지만 만들지 않고 있었다. 


무엇 때문이었을까? 


그 이유를 이 영화를 통해 찾으려 한다. 


나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다.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나에 대한 이야기.




 

 


시놉시스


나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겠다고 활동을 시작했지만 2년 동안 만들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우연한 기회에 나를 찍게 됐다. 


무슨 얘기를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고민하다가


내가 왜 2년 동안 다큐멘터리를 찍지 않았는지에 대한 물음을 시작했다. 


나는 앞으로 내 길이 명확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뭐가 그리도 망설여졌던 걸까?







 

 

 

 

 

 

 






'메이드 인 오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양 아리랑(2014)  (0) 2014.09.03
밀양전(2013)  (0) 2013.11.14
멈출 수 없는  (0) 2012.07.03
그 자퇴하는 학생은 어디로 가면 됩니까!  (5) 2012.04.10
사상  (0) 2012.04.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