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가 반만 쏜다!쏜다!쏜다!' 라는 프로젝트로 다녀왔던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18회동 멤버들은 잘 먹고, 잘 보고, 잘 다녀왔답니다.
김현아 멤버가 그 후기를 남겨줬는데요.
얼마나 좋은 경험들을 늘어놨는지... 도대체 이 프로젝트 누가시켜준거야~!!!
오지의 공동체 육성 프로젝트는 내년에도 내후년에도 계속됩니다~~~~~
제3회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를 다녀온 지도 벌써 한 달이 다 됐다. 그 때 기억을 되살리니 또 씩 웃음이 나고 즐겁다. 9월 23일 아침 7시 30분, 우리는 구포역에 모여 비몽사몽으로 서울행 기차를 탔다. 내 생애 첫 영화제 여행이었다. 떨리고, 기대되고, 어떤 영화를 볼 지 생각하면서 경기도 파주에 도착했다.
우리는 도착하자마자 영화를 봤다. DMZ 영화제에서 본 첫 번째 영화는 '권투도장'이었다. 아쉽게도 나는 프레드릭 와이즈먼의 이 영화에 몰입하지 못하고 꾸벅꾸벅 졸고 말았다. 반복적으로 보여 지는 권투도장 안의 사람들, 특별한 줄거리가 없는 전개.. 사실 뭘 이야기하는 것인지 잘 이해하지 못했다.
2박 3일 동안 10편이 넘는 다큐멘터리를 봤지만, 모든 영화가 다 기억에 남는 것은 아니다. 기억에 남는 영화들 중에는 깊이 공감했거나 재밌었기 때문인 것도 있지만, 한편으론 쉽게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내가 더 고민하고 생각할 수 있게 해 준 영화도 있다. 예를 들어 '히라노 카츠유키'의 '감독실격'은 하루 종일 머리를 지끈거리게 할 정도로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이 영화는 감독 자신의 사랑이야기를 아주 내밀하게 담아내고 있다. 불타는 사랑, 갈등, 그리고 사랑하는 이의 죽음의 순간까지 말이다. 그러나 내가 이 영화에 공감할 수 없었던 이유는 '과연 두 사람의 관계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나치게 사적인 일들을 통해 감독은 사람들에게 뭘 말하려고 하는 것인가?'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고, 나라면 사랑하는 이가 죽어 있는 것을 발견한 순간에 절대로 카메라를 들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자전거를 타고 눈물을 흘리며 자신만의 이별의식을 치르는 모습, 그리고 그것을 스스로 찍는 행위가 나에게는 거북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 영화를 본 많은 이들과 대화하면서 그 감독을 이해하려고 해 봤다. 곰곰이 생각할수록 일본의 사회문화적인 분위기라던가 주제와 형식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고정된 사고방식에서 그 영화를 본 것은 아닌가 하는 후회도 들었다. 사실 나에게 이 영화는 아직도 풀리지 않는 숙제 같다.
또 인상 깊었던 영화는 강유가람 감독의 '모래'다. 이 영화도 사적 다큐멘터리인데, 이 영화는 사적인 영역에서만 머무르지 않는다. 투기의 대상이 돼 버린 아파트, 사교육 문제,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삶 등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영화 안에 녹아 있다. 또 감독이 끊임없이 아버지와 대화를 시도하고, 그 과정에서 갈등에 부딪치더라도 의견을 나누려는 지난한 과정이 의미 있게 보였다. '고양이 춤'이란 영화는 도시에서 살아가는 길고양이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 영화를 보는 동안 인간이 독단적으로 만들어 놓은 아주 인위적인 공간 안에서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고양이들을 이유 없이 무서워하고 피했던 내가 부끄러워졌다.
▲ 18회동 멤버 김현아 양
'18會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회동으로 십팔거리기 위해... (0) | 2012.03.21 |
---|---|
18會動, 9번째 10번째 모임. (0) | 2012.01.09 |
18會動, 7월 15일 8번째 모임. (0) | 2011.07.27 |
18會動, 6월 4일 7번째 모임. (2) | 2011.06.08 |
18會動, 5월 5일 6번째 모임. (1) | 2011.05.12 |